156----167
2. 문장의 안김
문장의 안김이란 한 문장이 일정한 문장성분의 구실하면서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.
2.1명사절
명사절이란 무엇일까?
문장 속에서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한다. 즉, 절이 문장 속에서 주어나 목적어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.
명사절은 어떻게 만들까 ?
1. '-(으)ㅁ, -기'와 같은 명사형 전성어미를 붙어서 만든다 .
2. 그리고 '-(으)ㄴ 것, -는 것' 등과 같이 '관형사형 전성어미 + 것' 의 결합 형태를 사용하여 만든다 .
3. ㅁ과기 명사절은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다 .
도움말
기는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와 함께 쓸 수 없는데 ㅁ과 이런 어미와 쓸 수 있다 .
기와 ' -기 마련이다 , -기를 , -기 전에/위하여,' 등 처럼 관용적인 표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.
' -느냐 , -는지 , -는가' 등과 같은 어미로 끝난 문장은 그대로 명사절로 쓰일 수 있다 .
2.2관형사절
관형사절이란 무엇일까 ?
관형사처럼 그 뒤에 오는 명사를 꾸민다.
어떻게 만들까?
' -(으)ㄴ,-는,-(으)ㄹ,-던,'과 같은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붙인다.
도움말
시제가 현재가 아나더라도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쓰는 경우가 많다.
과거의 일이라도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.
'중, 도중, 동안' 등과 같은 말들 앞에 쓰는 경우.
'있다 '나 '없다 '가 붙어 만들어진 형용사의 경우.
2. 문장의 안김
문장의 안김이란 한 문장이 일정한 문장성분의 구실하면서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.
2.1명사절
명사절이란 무엇일까?
문장 속에서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한다. 즉, 절이 문장 속에서 주어나 목적어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.
명사절은 어떻게 만들까 ?
1. '-(으)ㅁ, -기'와 같은 명사형 전성어미를 붙어서 만든다 .
2. 그리고 '-(으)ㄴ 것, -는 것' 등과 같이 '관형사형 전성어미 + 것' 의 결합 형태를 사용하여 만든다 .
3. ㅁ과기 명사절은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다 .
도움말
기는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와 함께 쓸 수 없는데 ㅁ과 이런 어미와 쓸 수 있다 .
기와 ' -기 마련이다 , -기를 , -기 전에/위하여,' 등 처럼 관용적인 표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.
' -느냐 , -는지 , -는가' 등과 같은 어미로 끝난 문장은 그대로 명사절로 쓰일 수 있다 .
2.2관형사절
관형사절이란 무엇일까 ?
관형사처럼 그 뒤에 오는 명사를 꾸민다.
어떻게 만들까?
' -(으)ㄴ,-는,-(으)ㄹ,-던,'과 같은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붙인다.
도움말
시제가 현재가 아나더라도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쓰는 경우가 많다.
과거의 일이라도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.
'중, 도중, 동안' 등과 같은 말들 앞에 쓰는 경우.
'있다 '나 '없다 '가 붙어 만들어진 형용사의 경우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