韩国语吧 关注:434,810贴子:3,578,242
  • 11回复贴,共1
语法


来自Android客户端1楼2018-06-06 21:19回复
    156----167
    2. 문장의 안김
    문장의 안김이란 한 문장이 일정한 문장성분의 구실하면서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.
    2.1명사절
    명사절이란 무엇일까?
    문장 속에서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한다. 즉, 절이 문장 속에서 주어나 목적어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.
    명사절은 어떻게 만들까 ?
    1. '-(으)ㅁ, -기'와 같은 명사형 전성어미를 붙어서 만든다 .
    2. 그리고 '-(으)ㄴ 것, -는 것' 등과 같이 '관형사형 전성어미 + 것' 의 결합 형태를 사용하여 만든다 .
    3. ㅁ과기 명사절은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다 .
    도움말
    기는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와 함께 쓸 수 없는데 ㅁ과 이런 어미와 쓸 수 있다 .
    기와 ' -기 마련이다 , -기를 , -기 전에/위하여,' 등 처럼 관용적인 표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.
    ' -느냐 , -는지 , -는가' 등과 같은 어미로 끝난 문장은 그대로 명사절로 쓰일 수 있다 .
    2.2관형사절
    관형사절이란 무엇일까 ?
    관형사처럼 그 뒤에 오는 명사를 꾸민다.
    어떻게 만들까?
    ' -(으)ㄴ,-는,-(으)ㄹ,-던,'과 같은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붙인다.
    도움말
    시제가 현재가 아나더라도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쓰는 경우가 많다.
    과거의 일이라도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.
    '중, 도중, 동안' 등과 같은 말들 앞에 쓰는 경우.
    '있다 '나 '없다 '가 붙어 만들어진 형용사의 경우.


    来自Android客户端3楼2018-06-06 21:20
    回复
      广告
      立即查看
      좋은 정보인데요! 많이 업데이트한다면 좋겠어요


      IP属地:中国香港来自iPhone客户端4楼2018-06-06 22:15
      回复(1)
        140-----155
        목적의 의미로 연결: -(으)러, -(려고), -도록 , -게
        이 아이들은 앞 문장 주어의 목적이나 목표가 되고 뒤 문장 그걸 이루기 위한 내용이 될 때 쓰인다.
        (려고 대신에 려를 쓸 수 있다 )
        도움말
        1. 목적의 의미를 갖는 이런 어미들은 ' - 았-/-었-'과 '-겠- ' 함께 쓰일 수 없다.
        2. 러, 려고는 주어가 같아야 하고 사물이 주어가 될 수 없다. 도록, 게는 주에 대한 제약이 없고 사물이 주가 될 수 있다
        3. V와만 어울린다.
        4. 러, 도록, 게 모든문장과 어울린다. 려고는 청명과 어울리지 못한다
        5. 러는 부정의 표현과 어울리지 못한다
        6. 러에 의해 두 문장이 연결될 때는 뒤문장 서가 항상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이거나 합성어인 동사이어야 한다.
        7. 이 외에도 연결어미 고자와 기 위하여위해서 등이 더 있다 .


        来自Android客户端8楼2018-06-06 22:27
        回复
          인정의 의미로 연결: - 아/어도- , -(으)ㄹ지라도, -더라도
          앞 문장에서는 지금, 미래 상황이나 조건을 인정하고 뒤 문장에서는 상반되는 내용을 표현한다.

          1. ' - 았-/-었-' 함께 쓰일 수 있다. '-겠- '과 어울리지 못한다 .
          2. 주가 제약이 없다.
          3. 품사에 대한 제약이 없다
          4. 모든 문장 종류와 어울린다.
          5. 부정문과도 어울린다
          6. 아무리 같은 말들과 함께 사용한다
          7. 이 외에도 ㄹ망정, ㄹ지언정, 건만 등이 더 있다


          来自Android客户端11楼2018-06-06 22:31
          回复
            선태의 의미로 연결: -거나, -든지
            1. 두 가지 이상의 상황에서 그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선택될 수 있을 때 쓴다. (든지=든가 )
            2. 어느 걸 선택해도 상관이 없거나 주어진 모든 걸 다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.

            1. 과거를 나타낼 때에는 앞뒤 문장 각각 ' - 았-/-었-'을 사용하여 한다. 미래를 나타내는 '-겠- '과 어울리지 못한다 .
            2. 주에 대한 제약이 없다.
            3. 품사에 대한 제약이 없다.
            4. 모든 문장 종류와 어울린다.
            5. 부정문과도 어울릴 수 있고 대체로 부정문보다 긍정문이 먼저 온다.
            6. 두 이상 반복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. 다음에는 '하다'가오는 게 일반적이다.


            来自Android客户端12楼2018-06-06 22:32
            回复
              방법수단의 의미로 연결 : - 아서/-어서 , -고
              이 어미들은 어떤 일을 행하는 방법이 나 수단을 나타낼 때 쓴다.

              1.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어미나 나타내는 어미과 함께 쓰일 수 못한다.
              2. 주가 같아야 한다.
              3. 동사와만 어울린다.
              4. 모든 문장 종류와 어울린다.
              5. 부정문과 어울린다.
              배경의 의미로 연결: -는데/-(으)ㄴ데, -(으)니
              뒤 문장에서 어떤 일에 대해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상태과 연결되는 상황이나 배경을 앞 문장에서 미리 말할 때 쓴다.

              1. 는데는 과거를 나타낼 때에는 앞뒤 문장 각각 ' - 았-/-었-'을 사용하여 한다. 미래를 나타내는 '-겠- '과 어울리지 못한다 .
              나는 다 쓸 수 없다.
              2. 주에 대한 제약이 없다.
              3. 품사에 대한 제약이 없고 형용사나 이다와 쓰는 경우에는 뒤 문장의 내용이 앞 문장에 대한 설명이다.
              4. 니는 청명과 어울려 쓰이지 못한다.
              5. 니는 부정과 어울려 쓰이지 못한다.
              6. 이 외에도 '-는 / - (으)ㄴ 동안, -(으)ㄹ때 ' 같은 표현들도 배경의 의미를 갖는다 .


              来自Android客户端13楼2018-06-06 22:33
              回复
                楼主 可以教我吗


                来自Android客户端15楼2018-11-23 13:36
                收起回复